Surprise Me!

[자막뉴스] 전 세계가 직면...'코로나19' 보다 무서운 현상 확산 / YTN

2021-11-14 3 Dailymotion

지난달 미국의 소비자물가는 무려 6%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31년 만의 최대폭. 고위 금융당국자가 "눈이 튀어나올 지경"이라고 할 정도입니다. <br /> <br />중국은 더 합니다. 지난달 생산자 물가상승률이 13.5%. 불안하니 식료품 사재기가 벌어지고, 그러다 보니 물가는 또 오르는 악순환입니다. <br /> <br />터키 19.9%, 브라질 10.7%, 러시아 8.1%, 일본 8%. 세계 곳곳의 물가가 폭발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왜 이럴까? 코로나19 이후 각국이 너무 많이 돈을 풀었던 것이 가장 큰 원인입니다. <br /> <br />'위드 코로나'로 소비가 살아나고 천연가스와 석유 등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에너지 가격이 크게 올라, 상품 생산은 원활하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탄소배출 억제를 위해 에너지 생산은 둔화됐고, 폭염과 혹한 등 이상기후가 에너지 소비를 늘리고 있는 것도 에너지 가격상승을 부추깁니다. <br /> <br />물류 대란도 겹쳤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로 복지예산이 많이 풀려 부두 등에서 일하려는 사람은 줄었고, 코로나 기간 축소됐던 물류 인프라를 갑자기 원상회복하기도 어려워 전 세계 공급망이 마비된 겁니다. <br /> <br />물가 폭등으로 민심이 흉흉해지자 각국은 비상입니다. <br /> <br />[조 바이든 / 미국 대통령 : 경기가 회복되는데도 많은 사람들이 불안해 합니다. 이유는 다 아는 대로 물가 상승입니다.] <br /> <br />각국은 금리 인상이나, 나랏돈으로 사들이던 자산을 줄이는 이른바 '테이퍼링'으로 돈을 거둬들이고 있지만, 너무 급하게 하면 세계 경기가 급속히 가라앉을 수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나라도 사정이 다르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물가 상승률이 9년 9개월 만에 3%를 넘어 기준금리 인상이 코앞으로 다가왔습니다. <br /> <br />YTN 호준석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11114181305816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